일상

고궁 봄나들이

난해 2019. 3. 28. 07:30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3/26(화) 모처럼 화창한 날

퇴직 돼지띠 모임 나들이 나섰다.




안국역에서 만나 현대빌딩을 지나자니

박영환 전회장이 사도시지(司導寺址)를

설명해주었다.


조선시대 궁중의 미곡과 장 등의 물건을

맡은 정 3품 아문(관청)의 터이다.


절寺자는 모실시, 내시시로도  읽는다.

관청의 뜻을 나타내기도 하고,

시인(寺人)은 내시, 환관을 말한다.




창덕궁 앞에서 폼 잡고 있는 한복

서양남자.


외국인이 한복을 입으면

고궁은 무료입장이고, 한복

음식점에선 10% 할인.




창덕궁에 입장하니,

수양버들, 물이 올랐다.




진선문을 지났다.

금천교와 인정문 사이의 문.



궁궐 뜰의 화사한 미선나무꽃.


미선나무는 보통 흰꽃이라, 서양에선

흰개나리로 불린다. 꽃모양이

개나리와 비슷.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 속엔

미선나무 하나뿐인 (1속1종)


속 전체가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에만

자라는 귀한 식물.

손가락 굵기에 1m의 키.


괴산, 영동, 부안 등 네곳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미선나무 열매는 파란색에서

연분홍색으로 다시 갈색으로 변한다.


열매모양이 미선(尾扇).

미선은 궁중연회시 시녀들이

해가리개로 사용하는 커다란 부채.




꽃에 취한 여인네들




물푸레나무과의 영춘화(迎春花).

중국 남부가 고향.


어찌 영춘화 만 봄을 맞으랴.




꽃의 시녀들, 봄을 맞는다.





창덕궁의 주궁전, 인정전에

이르는 출입문.


 인(仁)으로 우리나라를

다스릴 영도자는 없을까?




올해 처음 본 우리 진달래.


'하얀 민들레 꽃씨 속에

바람으로 숨어서 오렴


눈덮인 강 밑을

흐르는 물로 오렴


해마다 내 가슴에

보이지 않게 살아오는 봄


진달래 꽃망울처럼

아프게 부어오른 그리움


말없이 터뜨리며

나에게 오렴'


(이해인의 봄편지)




봄의 낙선재 일원.

봄은 정녕 왔나보다.




낙선재에 이르는 장락문.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글씨.




왕의 서재겸 사랑채.

예술을 사랑한 헌종(1827-1849)이 지었다.


그의 명에 의해 단청을 입히지 않아

외형이 소박하다.


낙선재 현판은 청나라 문인

섭지선(1779-1863)의 글씨.

그는 추사와 우정을 나누었다.




청기와의 선정전. 옛날에는

청기와 궁전이 여럿 있었다고.


일상업무를 논하던 편전.

(평상시 임금이 거처하던 궁전)


조선초기에 창건, 인조반정때 소실된

것을 1647년에 중건.

이곳에서 양로연, 주연, 누에치기

등이 열렸다고.


조선중기 공포(栱包)의 형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격조가 있는 선정전 내부.




인정전 동쪽 행각에 있는 협문, 광범문.

(인정전 좌협문)

행사를 치를 때 중요한 문으로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었다.


이름도 규범을 빛낸다는 광범.

왕의 얼굴을 뵈옵는 문.


영조가 하언공 정하언(1702-69)에게

명하여 홍화문(창경궁 정문),

광범문 편액을 쓰도록 명했다.




창덕궁의 주전, 인정전.


창덕궁은 1405년 태종 때 지은 제2의 왕궁.

임진왜란 이후 순종 때까지 약 270여 년간

조선의 정궁 역할을 했다.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조선궁궐로

후원의 다양한 연못, 정자 등은 자연과 잘

조화된 한국전통조경의 진수를 보여주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




성정각(誠正閣) 안의 측면은 희우루(喜雨樓),

정면은 보춘정(報春亭)인 누각식 건물.

성정각은 세자의 교육장.


홍매화가 봄을 맨 먼저 알리고, 세자가

비를 즐기기도 하고, 머리를 식히는 누각.

명나라 황제가 보낸 홍매화가 있다.




담장 안 홍매화.

요즈음은 꽃들도 제정신이 아니라

피는 순서가 따로 없다.




원래 중희당의 서문이었던 자시문.


자시는 만물의 생성이 건원에 의뢰하여

시작한다는 주역에 있는 말.


일본친구들이 중희당을 없앴다.

항상 제멋대로인 일본.


극일은 친일이니 아니니 떠들 것이

아니라,  임진왜란과 한일합방이

왜 일어났는지 내부적 요인을 살피고,


다시는 그러한 일이 없도록 전략을

짜야할 것이 아닌감.

강국을 만들어야지.




봄을 기다리는 망춘문.


자시문 앞에서 후원으로 이어지는

길가에 위치.




13시 우리는 창덕궁의 후원(금원, 북원,

 비원, 내원이라고도 불리는)으로 들어섰다.


입장료의 경로우대는 없고,

외국인, 내국인 관람시간이

따로 있다.


부용지와 주합루, 불로문, 애련지와

애련정, 연경당, 관람지와 관람정,

옥류천 순으로 관람.




부용지(芙蓉池)


좌측이 부용정, 그 옆이 사정비비각,

우측이 어수문과 주합루.

연못 안에는 지름 9m의 원형섬.


부용지 인근에서는 과거시험을 비롯,

활쏘기, 낚시 등 야외행사가 열렸다.


연못의 사각형은 우주, 섬은 신선이

사는 천원(天圓)이라고.


왜 선인들은 부용을 좋아했을까?

부용꽃은 연한 홍색의 오판화.

반관목으로 , 땅 위에 나오는 부분은

겨울동안 죽는다.


여름철 소낙비를 맞으면 더 아름

답다는부용꽃은 무궁화꽃과 비슷하며

무궁화 보다  대형.




세조가 후원지역에서 4개의 우물을

찾아낸 것을 기리는 사정비 비각.




주건물은 정조(1752-1800) 때 세운

주합루(宙合樓), 아래층은 정책개발과

이를 위한 도서수집및 연구기관인 규장각.

위층은 열람실인 누마루.


입구는 어수문, 물고기가 물을 떠나서는

살 수가 없다는 정조의 민본철학이 담김.

대문은 임금의 문,  옆의 소문은 신하의 문. 


건물을 둘러싼 울타리는 취병(翠屛).




순둥이 7인.




늙지 않을 수 있다면--(불로문)


바위를 통채로 깍아 만들었다고.

애련지, 연경당 가는 길목.




애련지(愛蓮池)와 애련정.

연꽃을 좋아했던 숙종(1661-1720)이

붙여준 이름.




연경당(宴慶堂)의 정문, 장락문.

낙선재에도 같은 이름의 문이 있다.


수레, 사인교를 타고 들어갈 수 있는

솟을대문.


효명세자(1809-1830, 순조아들, 정조손자)가

순조의 존호를 올리는 의례를 치르려고

지었으며, 이곳에 머무르던 왕세자는

2년 정도 살다 22세로 사망.


109칸 건물로 단청을 하지 않아

소박한 모습.




사랑채.


효명세자는 안동김씨 세도정치에 맞서

개혁을 추진했다. 3년 3개월 대리청정

기간 중, 국왕 대신 정사를 도맡아


탐관오리, 과거제도를 정비하였으며

예악을 무기로 사용(부왕에 대한 효성을

빌미로 화려한 궁중연회를 주관하여)


군신간 질서를 잡았다. 그가 살아 임금이

되었다면, 조선이 달라졌을 것이라고.


연경당은 최초의 궁중경연장.




연경당 서쪽건물, 선향제.

서재 겸 손님을 맞이하는 건물.




연경당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한 농수정(濃繡亭).

독서와 휴식을 취하는 공간.




사랑채와 안채를 연결하는 우신문.




우리나라 지도 같은 관람지,

그리고 관람정으로 이동.

후원 중 가장 늦게 만들어졌다.




이곳에 있는 존덕정(尊德亭) 천장.

두 마리 용이 있다.


존덕정은 지붕이 이중이고 부채꼴.

선조의 어필 현판, 정조의 교시가 있다.


덕을 존중하는 사회,

이상향에서나 볼 수 있겠지.




이곳을 떠나 옥류천 가는 길에

있는 취규정(聚奎亭).

옥류천으로부터 산마루에 올라

쉽게 쉴 수 있는 곳.


인조(1595-1649) 때 지은 정자.

하늘을 바라보며 사색을

즐겼던 곳.


奎자는 별, 문장을 뜻함.




지난 해 떨어진 도토리와 오랑캐꽃.

가을과 봄?




옥류천을 찾아가는 길.

옥류천은 후원 북쪽 깊은 골짜기에

인조 때 조성.


소요, 태극, 청의정이 있다.

큰 바위 소요암을 다듬고, 그 위에

홈을 파서 휘도는 물길을 끌여들어


작은 폭포를 이루게 하는데,

이곳에서 옥류천이 시작되고

유상곡수연(流觴曲水宴)이 열리고.


물길 위 잔을 띄우고

시를 짓는 연회.


옥류천은 북악산 동쪽 봉우리 응봉

기슭에서 발원, 창경궁 지나 종묘

 동쪽으로 해서 청계천으로.




바위 아래는 인조의 친필, 옥류천.

위에는 숙종의 오언절구.


'삼백척 높이에서 날아 흐르니

저 멀리 하늘에서 떨어져 내리는듯

바라보니 흰 무지개 일어나더니

온 골짜기 우뢰 소리 이루네.'


요즈음 국가수반은 비행기로

세계를 누빌 수 있지만,

궁궐에 갇힌 임금님들, 답답했으리라.


조그만 천의 물 떨어짐을 보고

삼백척이니 했으니--




넓은 마당 한 구석 그늘진 곳의 취한정.

옥류천 샘물인 어정(御井)에서

시원한 물 마시며 쉴 수 있는 공간.




올봄 생강나무꽃도 처음 보았다.

생강나무꽃은 꽃자루가 짧아 줄기에

바짝 붙어있고,


산수유꽃은 꽃자루가 길어

가지에 떨어져 꽃뭉치를 이룬다.




소요정은 취한정 아래 폭포가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




임금이 친히 농사시범을 보였던

청의정(淸漪亭).

수확 후 볏집으로 지붕을 얹었다.




 정조, 순조, 효명세자가 자주 이용,

시문을 남기고, 문인들에게 글을

짓게 하고 성균관유생에게 경전을

강론한 곳, 농산정(籠山亭).


정조가 신하를 초청, 음식을

베풀기도 했다.




농산정 단청,

아름답기도 하다.




네모난 단청.




창덕궁의 봄기운을 잔득 들이키고

우리는 돈화문을 나섰다.







우리가 그날 점심을 들은

안국동 향가 식탁 옆, 골판지 상자 안에서

추워 웅크리고 있는 병아리들.


봄은 정녕 아름다운 계절이다,

만물이 소생하는.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가을은 깊어가고  (0) 2019.10.27
고궁, 혜화동, 낙산성곽길 소요(逍遙)  (0) 2019.04.28
기해년 스타트 업  (0) 2019.01.28
오랜만의 만남(2017.3.1)  (0) 2017.08.20
서여의도 산책(2015.1.11)  (0) 2017.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