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흙바람 속 때묻지 않은 사람들의 나라(끝)

난해 2017. 8. 6. 15:17

5. 마지막날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오전 방비앵을 떠나 길가의 벽촌학교를 들려,

              준비된 물품을 전달하기도 하고, 돌발모금도 했다.

 

                라오스의 2저(低)는 짧은 수몀, 낮은 학력을 말한다.

              선한 사람들은 일찍 죽는 것일까?

 

 

               어린 학생들과 선생님. 방문객을 위해 노래를 불렀다.

 

 

               이런 교실이 세칸.

 

 

                학생 책상과

 

 

                  선생님 책상.

 

 

               비엔티엔 오는 길, 흙바람 속의 모자

 

 

 

 

 

 

 

                                         길가 젓갈시장, 물건을 사지도 않았는데, 라오여인 밝게 웃었다.

 

 

               손님은 너무 없었다. 중국관광객들은 젓갈을 많이 산다고.

 

 

                 엄마가 감을 따는 것은 아니겠지.

 

 

                길가의 사탕수수쥬스 제조기, 쥬스는 인기가 좋았다.

              우리도 옛날 먹었지, 옥수수 줄기 그맛이 났다.

 

 

                비엔티엔 평야는 주요 논농사지대이다.

              관개가 잘 되는지, 오랜만에 푸른 벼를 보았다.

 

 

                   남능강 탕원유원지에 떠있는 뗏목식당에서 점심을 들었다.

                 음식맛은 별로. 재혁군과 나를 빼고는 모두 음식을 남겼다.

                 그리곤 우리를 신기하게 쳐다봤다.

 

                식당은 둥둥 떠가고, 식후 한잠 잤으면.

 

 

               식당 내에는 대형 티브이도 있고,

 

 

                선상 막춤도 있었다. 춤스타일도 비슷하고.

 

 

               우리는 여행초부터 즉석 사진팀을 결성했었다.

 

 

                다음 우리는 소금공장을 방문했다. 이곳 소금은 맛이 있었지만 팔지는 않았다.

              이곳은 옛날 바다였었다고. 다시 끓이고 염전같이 햇볕에 증발시켜 소금을 만든다고 했다.

 

 

                                                  끓이는 과정이 있으니 공장.

 

 

                메콩강가의 왓씨앙쿠앙(돌상공원)

              태국스님이 건설했다. 태국에도 같은 공원을 건설했다고.

 

 

                                                지옥체험탑

 

 

                 탑의 입구쪽

 

 

                                               탑오르는 길, 가파르고 비좁다.

 

 

                  날씬한 미녀에게는 쉬운 길?

 

 

                선불과 와불

 

 

                                                 여불1

 

 

                                               여불2

 

 

               마누라불

 

 

                                      어머니불

 

 

                 와불

 

 

                메콩강가를 달려, 우정의 다리(태국과의 연결점)를 지나

 

 

               흙 속의 거라를 달려

 

 

                우리가 첫날 거닐었던 야시장거리로 회귀했다.

 

 

               우리도 광장산책을 즐기다  화장실을 들렸는데, 값을 치룬 가이드는 거스름 받는 것도 잊고

              가버렸었다. 화장실지킴이 아이, 일보고 나온 나에게 거스름돈을 건네는 게 아닌가.

 

                정말로 순수한 그들.  거리에서 교통사고가 나도 큰 소리내는 법이 없다고.

              천성적으로 남에게 싫은 소리 못하는 그들이란다.

  

 

               광장의 라오아이들 귀엽기만 했다.

 

 

                파토크 라오덤에서 민속공연을 보며 라오스에서의 마지막 식사를 했는데,

              식당을 나올 즈음 내 뱃속도 들끓기 시작했다. 

                나도 나이가 먹은 것일까?

 

 

                서울행 진에어는 11시 출발예정임에도 10시 35분에 출발했고 4시간 10분 만에 서울에 도착했다.

              공항에 나온 짠수다이 이별에 눈물 흘리는 시늉을 하고, 나도 그렇게 하고.

                나도 라오인이 되어 착하고 기다릴줄 아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라오스도 메콩강 수자원, 광물자원을 개발하고 , 자연을 활용한 관광사업을 진흥시킨다면

              국민경제가 나아지겠지. 그런데 순수한 국민성을 계속 보존시킬 방법은 없는 것일까?

 

                 4박6일의 라오스여행, 의미있는 여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