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가을과 겨울 사이

난해 2019. 11. 30. 20:45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가을이 깊어가네

이계절을 어찌 지내시는가

하늘은 높이도 비어있고

바람은 냉기에 떨고 있네

이가을 깊은 서정에

가슴 베이지 않을

지혜를 일러주시게

오늘도 그대가 놓고간

가을과 함께 있네

(김필연의 '가을앓이')


--------------------------------------


12월이 바로 앞,

더 깊어질 것 없는 가을 속에서

혹시 가을앓이를 하고 있지 않나요.


박경규곡을 김희정이 노래한

가을앓이를 들어보시죠.




세째주말, 서달산 아래 국립묘지를

찾았을 때, 무명용사들과 육군중위 박동을

 부인의 가을앓이도 생각나고.




지난주 방문했던 서울대공원의 쌍봉낙타,




늦게 핀 아프리카 연꽃도

가을앓이를 하는듯 했다.


하이에나, 물개, 원숭이들은 아랑곳없이

돌아다녔지만.




11/29(금) 하루 남은 가을을 끝내려고

친구 넷이 양주시 장흥에 있는

가마골 신관에 모였다.


자기 관할구역이라고, 신영우친구

갈비에 포도주까지 쏘았고.





식후, 3층 휴게실에 오르니

앞에는 사패산, 오봉, 상장능선이

펼쳐 있었고.


장흥의 송추(松楸)골은

소나무와 가래나무가 많아

 송추라 불리웠다고.




가마골을 떠나, 2019.11.14.

 개방된 온릉(溫陵)을 찾았다.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소재.


온릉은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 신씨

(1487-1557)의 무덤.


그녀는 인왕산 치마바위의 주인공.

중종(1488-1544)이 그녀를 그리워하니,

화답으로 바위에 분홍치마를 걸쳐놓았다.


그녀는 이가을, 무덤 속에서

얼마나 가을앓이를 할까.




정자각 옆에 있는 온릉비각.


중종은 39년간 왕위에 있었으나, 형 연산군이

반정으로 쫓겨난 자리에 앉혀졌으니

반정공신들의 눈치를 얼마나 보았을꼬. 


단경왕후는 당시는 막강했던 신수근의 딸로

13세에 진성대군(중종)과 혼인했으나


아버지 신수근이 중종반정을 반대하여,

중종 등극 7일만에 폐위,

거창신씨 선산인 지금 자리에 묻혔다.


영조때 왕후로 복귀되어, 단경왕후의

시호를 받았고, 온릉의 능호도 받았고.




제를 지내는 정자각 내부.


복위된 왕비의 능이라

병풍석, 난간석, 무인석도 생략되었고

원래 두쌍인 석양, 석호도 한 쌍뿐.


반정이 성공하여 진성대군을 호위하기

위해 군사들이 오자, 대군은 겁이나

자결하려 했으나,


부인 신씨는 군사들의 말꼬리가

궁으로 향하여 있자, 호위의 뜻으로 알고

자결을 말리는 등 기지를 발휘하기도.




우리는 능 주위를 한 바퀴 돌고

다음 방문지로.




양주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권율장군묘를 돌아볼까 하다,

장군묘 인근에 있는 장욱진미술관으로.


이 미술관은 김수근건축상을 수상했고,

 영국 BBC선정, 2014년 위대한 신설

미술관의 하나로 뽑히기도.


권위를 내려놓은 미술관으로 전시실,

복도의 알쏭달쏭한 동선 속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재미가  있다.




원승덕(1941-) 동아대교수의 장욱진 조각상.

원승덕씨는 예수상 등,

성(聖) 미술작품을 많이 만들었다.


장욱진(1917-1990)씨는 충남 연기출신으로

동경제국미술학교를 졸업했고, 국전심사위원,

서울대교수도 역임한 서양화가.


시골생활, 자연환경을 주제로 일관된

작업을 추구했으며, 작품에 동심적

상상력, 순수한 표현감정이 내재되어 있다.


작은 화면에 밀도 있는 선묘윤곽, 평면적

장식적인 독특한 색채표현의

이야기그림으로 형상화.


1947-52, 김환기 등과 비사실주의 지향의

현대적 창작이념으로 신사실파

동인전 활동을 하기도.




20.2.9일까지 양주팔괴란 타이틀 하에

특별전시회를 열고 있는 중.


장욱진, 민복진, 김구림, 권순철,

신상호, 박영남, 조환, 조성묵 등

8인의 양주관련 작가들의 전시회.




민복진(1927-2016)의 '아기와 엄마'

양주출생의 한국 구상조각 1세대.

가족연작, 모자연작이 대표작.


4.19기념탑, 백범 김구선생상,

매헌 윤봉길의사상 등 기념동상

제작에도 적극적이었다.




민복진의 '가족'


그는 홍대를 졸업했고

국전심사위원 역임.




추상조각가, 조성묵(1940-2016)의 메신저.

추상조각? 우리에겐 낯설고.




미술관에 들어서니 그가

명륜동시대(1975-79)에 그렸던 '가로수'

어린이의 눈으로 본 시선, 동심.


아, 장욱진하고 내 머리에 휠이 왔다.




장욱진 오마쥬 미디어파사드,

김태운작가의 빛의 방.


오마주(hommage)는 존경, 경의.  

다른 작품에 대한 존경의 의도로 다른 작품의

작품, 대사 등을 인용하여 표현하는 것.




'나는 심플하다.'고 말하는

장욱진의 자화상.

그의 명륜동시대 작품.




'나는 한국인의 삶과 역사를 그린다.'는

권순철(1944-)의 '부부'


재불작가 권순철은 물감을 덧칠해 질감을

드러내는 특유의 방식으로

인간의 고통과 깊이를 표현.


그림의 부부는 장기려(1911-95)박사 부부.

한국의 슈바이처. 춘원 이광수의 주치의,

서울의대교수 역임.


민간 의료보험조합을 발족시키는 등

영세민의 의료복지에 힘씀.




권순철의 '38'




'그림, 무언가로 보이면 그것으로 족하다.'

라고 말하는 박영남(1949-) 추상화가의

'Cloudy and Cool'


Cool한 것은 못 느끼는데-




조환(1958-)의 '무제'


작가는 '글씨와 그림의 원리는 같다.'

라고 주장.




신상호(1947-)의 '얼굴'


홍대미대 학장을 역임한 작가는

도예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흙을

이용, 새로운 장르를 개척 중.




김구림(1936-)의 '돌'

하얀 부분의 돌이 실물로 떨어져 있다.


'세계는 음과 양으로 이루어진다.'는

작가는 한국전위예술의 선구자.




우리는 장욱진선생의

예술세계 속으로.

그의 화가생활을 덕소(1963-74),

명륜동(1975-1979), 수안보(1980-85),

용인시기(1986-1990)로 나누어 전시.



덕소시기의 그림

----------------------

양주 미금시 삼패리 슬라브집에서 혼자 생활,

주말의 아내를 위해 한칸짜리 한옥지었고,

 서울대제자들이 외벽에 벽화를 그림.



'동물가족'




'덕소풍경'




'집과 아이'




'평상'과 '무제'




'천막'




명륜동(1975-79), 수안보(1980-85)

---------------------------------------

명륜동시기는 가족과 함께 ㄱ자 한옥에서.

마당에 연못 조성. 이희승선생이

관어당이라 이름 지어줌.


수안보 온천, 농가 한옥에서는

화가 자신과 가족의 모습을 많이 그림.




'제비둥지'




'산과 나무'




'가족'


'나는 누구보다도 나의 가족을 사랑한다.

그 사랑이 그림을 통해 서로 이해된다는

사실이 다른 이들과 다를 뿐.'




용인시기(1986-1990)

--------------------------

천식이 심해졌고,

베치카가 있는 따뜻한 양옥집.

용인에서 타계.




'집과 까치'




'안뜰'



오브제의 방에 있는 유품, '나는 심플하다'는

그의 말과 같이, 군더더기 없이 소박. 


술병, 파이프, 안경, 시계 등.

창작활동에 필요한 도구들은 다양했고.




그의 일생을 회고하는 다큐,

최불암이 해설자로 등장.


그의 삶은 그림과 주(酒)도 사이를 오가는

자유로운 삶.  '예술을 어떻게 가르쳐?'하여도

많은 제자가 따르는 정 많은 스승이었고.







마지막 부분에 놓여진 이영학(1948-)의

장욱진 초상조각.

처음에 원승덕의 장욱진 조각이 있듯.


이영학작가는 학교재단 설립자였던,

신영우친구의 장인 초상도 조각했다고.


이작가는 전통과 자연을 하나로 만드는

작업에서 한국조각의 뿌리를 찾는 작가.

한국사회 대표인물조각상을 만듬.


소설가, 한수산이 그의 조각세계를

'정적과 회귀'로 요약.


1990년 이후 폐품을 이용, 새와

호랑이 작품을 꾸준히 만들고 있고.




오늘의 마지막 목적지,

파주시 광탄면 기산리 소재, 마장호수로.


차로 이동하거나 걷는 도중

스승, 졸업 못한 친구들, 선생님한테


인사하다, 모자에 넣었던 담배갑이

튀어나와 벌 받던 이야기 등

객쩍은 얘기들도 많이 했다.


영우친구와 내가 살았던 보문동에는 부잣집들이

 꽤 있었다. 심심찮게 영화촬영도 했고.


영우친구는 코메디안 뚱뚱이 양훈 마누라가

어떤 년하고 이차타고 갔었냐며 동네에서 외제

자가용을 방방이로 부수는 것을 보았다나.


옛날에는 부부싸움 등이 자주 일어났었고

또 시끌벅적했었다.




가을도 끝나려 하고,




소나무들의 가을앓이 아직이었고.


출렁다리 입구, 넓은 여울  4층 카페에서

아메리카노+교황빵 셑. 방한했던

프란치스코 교황의 간식빵이었다나.




작년 4월에 이어 두번째로

이 출렁다리를 건넜다.




토끼모자 쓴 모녀는

우리와 반대 방향으로.




저수지 댐 아래 마을,

안개가 끼었는지, 저녁짓는 연기인지.






호수 반대편으로 해는 꼴까닥.


가을의 마지막 산책 끝내고,

하태욱, 신영우친구는 강남으로,

천병헌친구와 나는 먹골로. 


미술관 방문, 1시간 넘게 걸린 마장호수

산책으로 가을앓이를 치유했고,

12월은 활기차게--


먹여주고  태워주고, 안내해준

영우친구에게 다시 한 번 감사하고,

같이 참여해준 친구들, 고마웁고.